윈도우를 설치하거나 새로운 PC를 구입한 뒤, 자신이 사용 중인 운영체제가 정품 인증된 버전인지 확인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정품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업데이트 제한, 개인 설정 불가, 보안 취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내 윈도우가 정품인지 어떻게 확인하지?”라는 질문을 자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윈도우 정품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2가지 대표 방법 — CMD(명령 프롬프트)와 설정 메뉴를 활용한 구체적인 절차를 안내합니다. 또한,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의 대처법과 주의사항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 목차
- 정품 인증이 중요한 이유
- 설정 메뉴에서 정품 인증 확인하기
- CMD(명령 프롬프트)로 정품 인증 상태 확인하기
- 인증 상태별 메시지 해석법
- 인증 오류 발생 시 대처 방법
- OEM, Retail, Volume 라이선스 차이 간단 정리
- 자주 묻는 질문 (FAQ)
1. 정품 인증이 중요한 이유
정품 윈도우 인증은 단순히 ‘합법적으로 사용 중’이라는 표시가 아닙니다. 보안, 안정성, 기능 제한 등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보안 업데이트 유지: 정품 인증된 윈도우만이 최신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화 기능 사용: 비정품 사용 시 바탕화면 변경, 다크모드, 테마 적용 등 개인 설정이 제한됩니다.
- 시스템 안정성 확보: 인증되지 않은 버전은 갑작스러운 오류나 재부팅 문제가 빈번합니다.
- 법적 문제 예방: 기업에서 비정품 사용이 적발되면 저작권법 위반으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윈도우 설치 직후 또는 중고 PC 구입 시에는 반드시 정품 인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2. 설정 메뉴에서 정품 인증 확인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윈도우의 설정(Settings)을 통해 인증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 순서를 따라 해 보세요.
- ① 바탕화면 왼쪽 하단의 시작 버튼 → 설정(⚙️) 클릭
- ② “업데이트 및 보안(Update & Security)” 선택
- ③ 왼쪽 메뉴에서 “정품 인증(Activation)” 클릭
- ④ 아래와 같은 문구가 표시되면 정품 인증 완료 상태입니다:
- ✅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선스로 활성화되었습니다.”
- ✅ “Windows가 정품 인증되었습니다.”
만약 “Windows 정품 인증 필요” 또는 “라이선스 키가 유효하지 않습니다.” 등의 문구가 보인다면 정품 인증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 Tip: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해 두면 정품 라이선스가 계정에 자동 연동되어, 나중에 포맷하거나 PC를 교체해도 쉽게 재인증할 수 있습니다.

3. CMD(명령 프롬프트)로 정품 인증 상태 확인하기
CMD(명령 프롬프트)는 조금 더 기술적인 방법이지만, 인증 채널(OEM, Retail, Volume)까지 확인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습니다.
- ①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엽니다.
- ② “cmd”를 입력하고 Ctrl + Shift + Enter를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 ③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lmgr /dli - ④ 잠시 후 “Windows Script Host” 창이 나타나며 다음과 같은 정보가 표시됩니다:
- License Status: Licensed → 정품 인증 완료
- Partial Product Key: (일부 라이선스 키 표시)
- License Channel: Retail / OEM / Volume
좀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slmgr /dlv
이 명령은 라이선스 만료일, 설치 날짜, 활성화 ID 등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4. 인증 상태별 메시지 해석법
명령어 실행 후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 현재 PC의 인증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표시 메시지 | 의미 |
|---|---|
| License Status: Licensed | 정품 인증 완료 |
| License Status: Notification | 정품 인증 만료 또는 불법 복제 의심 |
| License Channel: Retail | 개인용 정품(리테일 버전) |
| License Channel: OEM | PC 제조사 기본 설치 버전 |
| License Channel: Volume | 기업용 라이선스 (개인 사용 불가) |
💡 주의: ‘Volume’ 채널로 표시된다면, 기업이나 기관용 라이선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인 사용자는 Retail이나 OEM 채널이어야 정상입니다.
5. 인증 오류 발생 시 대처 방법
정품 인증이 되어 있지 않거나 인증이 만료되었다면 다음 해결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 ① 라이선스 키 다시 입력: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 인증]에서 “제품 키 변경(Change product key)” 클릭 후 새 키 입력
- ② 전화 인증: 인터넷 인증 실패 시 Microsoft 고객센터(080-079-0880)를 통해 전화 인증 진행
- ③ Microsoft 계정 재로그인: 이미 디지털 라이선스가 연동된 계정이라면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으로 인증 복구 가능
- ④ 정품 재구매: 라이선스가 불법 키일 경우 공식 스토어를 통해 새 키를 구매해야 합니다.
만약 중고 PC를 구입했다면, 판매자가 설치한 윈도우가 비정품일 가능성도 있으니 반드시 정품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6. OEM, Retail, Volume 라이선스 차이 간단 정리
정품 인증 상태를 확인할 때 나타나는 ‘라이선스 채널’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 OEM: PC 제조사에서 미리 설치한 버전으로, 해당 하드웨어에 귀속됩니다.
- Retail: 사용자가 별도 구매한 패키지형 정품으로, 다른 PC로 이전이 가능합니다.
- Volume: 기업용 대량 라이선스로, 개인 사용은 불법입니다.
즉, “Retail”로 표시되어 있다면 개인이 합법적으로 구입한 정품이며, “OEM”은 완제품 PC에 포함된 정품입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CMD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CMD를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해야 합니다. 시작 메뉴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우클릭한 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하세요.
Q. 라이선스 상태가 Volume으로 표시됩니다. 괜찮나요?
Volume은 기업용 KMS(대량 인증) 채널로, 개인 사용자용 정품이 아닙니다. 일반 소비자는 Retail 또는 OEM 상태여야 정상입니다.
Q. ‘Windows가 정품이 아닙니다’ 경고가 뜹니다. 해결 방법은?
해당 메시지는 인증이 만료되었거나 불법 라이선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품 키를 재구매하여 [설정 → 정품 인증]에서 새 키를 입력하세요.
📌 관련 콘텐츠
한 줄 요약: 윈도우 정품 인증 여부는 ‘설정 메뉴’ 또는 ‘CMD 명령어(slmgr)’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Licensed 상태와 Retail/OEM 채널이면 정상적인 정품입니다.
'IT관련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글 AI 모드 완전정복 - 검색의 진화와 핵심 기능 (0) | 2025.10.29 |
|---|---|
| 컴퓨터 사양 보는 법 - CPU·RAM·그래픽카드 쉽게 확인하는 2025 최신 가이드 (0) | 2025.10.27 |
| Windows OEM vs Retail 라이선스 차이 완벽 정리 - 정품 구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1) | 2025.10.25 |
| 윈도우 프로그램 구입 시 정품 구별법 - 가짜 라이선스 피하고 진품 확인하는 법 (0) | 2025.10.24 |
| ChatGPT Atlas 완벽 분석 - AI 브라우저의 탄생과 구글 크롬을 위협하는 이유 (0) | 2025.10.23 |
